티스토리 뷰
목차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의 한국 컬링팀 팀 킴이 은메달을 획득한 일로 한국은 컬링과 팀 킴의 매력에 푸~욱 빠졌었는데요. 올림픽에서 그늘의 활약과 컬링에 숨겨진 과학, 쉬는 시간 일본 선수가 먹었던 딸기가 화재 된 사연을 알아보겠습니다.
1. 팀 킴의 매력에 퐁당 빠지다, 컬링의 매력에 퐁당 빠지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의 성공은 한국에서 컬링이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게 된 가장 큰 이유입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한국 여자 컬링 대표팀은 그야말로 "깜짝 스타"가 되었습니다. 컬링은 이전에는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지 못했던 스포츠 중 하나였으나, 평창 올림픽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컬링의 매력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팀 킴은 한국의 여자 컬링 국가대표팀으로, 경상북도 의성 출신의 선수들로 구성된 팀입니다. 이들은 올림픽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두며 결승까지 진출했고, 은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컬링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그들의 놀라운 경기력과 함께 차분한 전략, 그리고 이들이 보여준 팀워크는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고, 경기 중 선수들끼리 주고받는 소통도 화제가 되었습니다. 팀 킴이라는 이름은 사실 팀의 모든 선수가 김씨 성을 가지고 있어서 붙은 이름입니다. 김은정(스킵), 김영미, 김경애, 김선영, 그리고 김초희로 구성된 이 팀은 평창 올림픽 당시 컬링 팬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도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팀은 의성이라는 작은 도시에서 컬링을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전혀 주목받지 못하던 팀이었습니다. 그러나 팀 킴은 꾸준한 훈련과 팀워크로 올림픽 무대에서 세계 강팀들과 맞서 싸우며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들이 보여준 단합력과 집중력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고, 컬링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그들의 경기에 빠져들게 했습니다. 팀 킴이 컬링 경기를 진행하는 동안 가장 큰 화제가 되었던 것은 스킵 김은정이 팀원인 김영미에게 외치던 "영미!"라는 구호였습니다. 컬링은 팀워크가 중요한 종목이라, 스톤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브룸을 이용해 얼음을 쓸어야 하는데, 스킵은 이를 조율하며 팀원들에게 지시를 내립니다. 경기 중 김은정이 "영미!"를 반복적으로 외치며 스톤을 정확하게 배치하려는 장면이 자주 방송되었고, 이 구호가 크게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영미!"는 컬링 팬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 전반에서 인기를 끌며, 대중문화 속에서도 자주 언급되었고,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 패러디되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컬링은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영미!"는 컬링의 상징적인 구호로 자리 잡았습니다.
2. 컬링 스톤이 움직이게 만드는 스위핑의 과학적인 이유
빙판을 문지르는 스위핑(sweeping)은 상당히 과학적입니다. 컬링에서 돌을 던진 후, 얼음판을 빗자루로 문지르는 스위핑은 경기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스위핑 동작의 목적은 스톤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는 데 있습니다. 그 원리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면 스위핑은 얼음을 빗자루로 빠르게 문지르면서 빙판의 표면 온도를 약간 상승시킵니다. 얼음 표면이 녹으면서 아주 얇은 물막이 생기게 되는데, 이 물막은 스톤과 얼음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줍니다. 마찰력이 줄어들면 스톤이 더 멀리 나아가며, 속도 조절이 가능해집니다. 즉, 스위핑을 많이 하면 스톤이 목표 지점까지 더 빠르고 멀리 움직일 수 있습니다. 스위핑은 스톤의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데에도 기여합니다. 컬링 스톤을 던질 때 회전을 주기 때문에, 스톤은 직선으로 움직이지 않고 살짝 곡선을 그리며 이동합니다. 이 회전은 스톤이 목표 지점을 향해 정확히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스위핑을 통해 스톤이 더 직선으로 움직이거나 곡선 방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스위핑을 하지 않으면 스톤은 더 큰 곡선을 그리며 빠르게 멈추게 됩니다. 컬링 스톤은 매우 특수한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그 크기와 무게도 표준 규격에 맞춰져 있습니다. 컬링 스톤은 화강암(granite)으로 제작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컬링 스톤 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강암은 스코틀랜드의 알사 크레이그(Ailsa Craig)라는 섬에서 채굴된 것입니다. 이 섬의 화강암은 매우 밀도가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스톤이 얼음판 위에서 오래 사용될 수 있습니다. 컬링 스톤의 직경은 약 29cm이며, 무게는 19.96kg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무게와 크기는 경기에서 스톤이 충분한 관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스톤의 아랫부분은 약간 평평하지만 모서리는 둥글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모서리 부분이 빙판에 닿는 부분이며, 스톤이 정확한 회전을 만들어내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컬링 스톤을 던질 때, 선수는 스톤에 회전을 가합니다. 이 회전은 스톤이 얼음판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곡선을 그리게 만드는 이유입니다. 스톤의 회전이 발생하는 이유는 스톤의 바닥 면이 얼음판과 닿는 마찰의 차이 때문입니다. 스톤이 회전하면서 한쪽은 빙판과 더 많은 마찰을 발생시키고, 다른 쪽은 적은 마찰을 발생시켜 곡선 움직임이 만들어집니다.
3. 한국의 딸기를 먹은 일본의 컬링 선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일본 여자 컬링 대표팀이 경기 중 한국 딸기를 맛있게 먹는 모습이 화제가 되었죠. 일반적으로 선수들은 엔드(end) 사이의 휴식 시간에 간단한 간식이나 음료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 엔드는 컬링 경기의 한 회를 의미하며, 각 엔드 사이에는 짧은 휴식 시간이 주어집니다. 이 시간 동안 선수들은 물을 마시거나 간단한 간식을 먹으며 체력을 회복하고 다음 엔드를 준비합니다. 평창 올림픽 당시 일본 여자 컬링팀 선수가 한국의 딸기를 먹은것이 화제가 되자 일본 농림수산상은 한국 딸기가 일본 품종에서 유래했다며, 일본 선수들이 일본산 딸기를 먹었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농산물 교류에 대한 정치적인 해석이 개입된 것으로, 선수들의 순수한 행위를 넘어 다른 차원의 문제로 확대 해석된 측면이 있습니다.